[전라남도 해남군] 산이정원
산이정원
- 홈페이지
https://www.sanigarden.co.kr
- 주소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 구성리 664 산이정원
‘산이 정원이 된다’라는 뜻의 산이정원은 해남군 산이면 일대의 경관을 살려 자연과 함께하는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정원을 조성했다. 정원 내에는 수목원과 산책로뿐만 아니라 미술관, 카페, 놀이시설 등이 들어서 모든 세대가 정원과 자연을 체험하는 복합문화공간이 조성되어 있다. 산이정원은 자연 본연의 색을 지향하며, 자연의 순리에 따라 성장하고 변화하는 정원, 자연과 미래를 연결하는 정원, 순간의 즐거움보다 여운을 남기는 정원,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정원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
(출처 : 산이정원 홈페이지)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61-536-3001
- 개장일
2024-05-04
- 쉬는날
연중무휴
- 이용시간
[동절기(11월~2월)]
09:00~17:00 (입장 마감 16:00)
[하절기(3월~10월)]
09:00~18:00 (입장 마감 17:00)
- 주차시설
가능
- 체험가능연령
전 연령
◎ 이용가능시설
정원 / 하늘마루 / 산이폭포 / 가든 뮤지엄 등
◎ 입 장 료
[개인]
- 일반 10,000원(주중) / 12,000원(주말)
- 어린이 5,000원
- 청소년/경로(65세 이상) 9,000원
- 해남군민 6,000원
- 장애인/국가유공자 6,000원
[단체 (20인 이상)]
- 일반 9,000원
- 어린이 5,000원
- 청소년/경로(65세 이상) 9,000원
- 해남군민 6,000원
- 장애인/국가유공자 6,000원
◎ 반려동물 동반 여행 정보
- 동반시 필요사항
반려동물 유모차 탑승,이동장(켄넬)사용
- 기타 동반정보
단, 애견용 캐리어·애견유모차 등 탑승시에만 가능 배설물 처리를 위한 비닐봉지 등을 구비한 이용객에 한하여 허용 / 목줄 불가능
◎ 주위 관광 정보
⊙ 목포 서산동 보리마당&시화마을
- 홈페이지
http://www.mokpo.go.kr/tour
- 주소
전라남도 목포시 해안로127번길 14-2 (서산동)
서산동 시화마을은 추억과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곳으로 보리마당 위에서 내려다보는 항구와 바다, 아름다운 마을 경관이 있는 곳이다. 서산동 주민들이 직접 지은 시와 목포 지역에서 활동하는 시인 10여 명이 서산동을 주제로 시를 짓고 골목 사이사이에 시가 쓰여있는 목판화와 꽃을 조성하였다. 또한 어촌마을인 서산동에 어울리는 바다낚시, 풍경, 배등의 소재로 다양한 기법의 벽화를 조성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정감 있고 화사한 마을로 재탄생시킨 곳이다. 주민들의 글과 그림으로 조성된 이곳은 영화 1987 촬영지 연희네 슈퍼는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많은 관광 명소이다. 연희네 슈퍼에서 포토존을 운영하고 영화 속 장면을 재현하는 체험을 할 수 있다.
⊙ 학은재
- 홈페이지
- 노대현
010-9448-4398
- 주소
전라남도 목포시 유동로 51 (중앙동3가)
국내와 해외에서 근무하며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고 많은 곳을 여행했던 사장님이 퇴직 후 목포가 좋아 별장으로 사용하던 한옥을 개방하였다. 50년이라는 흔적을 간직한 한옥 속의 작은 정원에는 동백과 오죽, 팔손이, 장미 등이 자라고 있으며 주변에는 유달산, 성옥 기념관, 목포역, 여객선 터미널 등이 걸어서 10분 이내에 있다.
⊙ 마실한옥
- 홈페이지
https://www.instagram.com/marcil_hanok//
- 박종선
0507-1336-6877
- 주소
전라남도 목포시 영산로 36-7 (대의동2가)
전라남도 목포 근대 문화역사 거리에 위치한 마실한옥은 현대식으로 꾸며져 있어, 현대의 편리함과 한옥의 고즈넉한 멋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독채 한옥스테이다. 내부는 퀸 사이즈 침대가 있는 안방, 널찍한 거실, 간단한 조리가 가능한 주방, 깔끔하게 관리되는 화장실로 구성되어 있다. 미스터클레버를 이용해 직접 커피를 내린 후 대청마루에 앉아 마시면 힐링 그 자체다. 목포역, 유달산 및 목포해상케이블카가 인근에 있어 여행하기에 편리하다.
⊙ 주식회사 더 오래뜰(게스트하우스 오래뜰)
- 홈페이지
https://booking.naver.com/booking/3/bizes/190853
- 김경혜
010-4136-1137
- 주소
전라남도 목포시 북교길 27 (북교동)
오래뜰은 목포역에서 도보 10분 거리에 위치해있다. 가족, 여성전용 게스트하우스이며, 본채는 여성전용으로 운영된다. 본채에 한해 추가요금 지불시 반려동물 동반이 가능하다. 오전 8:30-9:30까지 한식 조식을 제공한다.
⊙ 유달산
- 홈페이지
https://www.mokpo.go.kr/tour
- 주소
전라남도 목포시 죽교동 산27-3
노령산맥의 큰 줄기가 무안반도 남단에 이르러 마지막 용솟음을 한 곳, 유달산은 면적 140ha, 높이 228.3m로 그리 높지는 않지만 노령산맥의 맨 마지막 봉우리이자 다도해로 이어지는 서남단의 땅끝인 산이다. 유달산은 예부터 영혼이 거쳐가는 곳이라 하여 영달산이라 불렸으며 도심 속에 우뚝 솟아 목포시와 다도해를 한눈에 굽어보며 이곳 사람들에게 끊임없이 예혼을 일깨우고 있다
‘호남의 개골’이라고도 하는 유달산에는 대학루, 달성각, 유선각 등의 5개의 정자가 자리하고 있으며, 산 아래에는 가수 이난영이 부른 ‘목포의 눈물’ 기념비 등이 있다. 1982년 발족된 추진위원회의 범시민적인 유달산 공원화 사업으로 조각작품 100점이 전시된 조각공원과 난공원 등이 조성되어 볼거리가 많으며 산 주변에 개통된 2.7km의 유달산 일주도로를 타고 달리며 목포시가와 다도해 전경을 감상할 수 있다. 영혼이 심판을 받는다 하여 이름 붙여진 해발 228m의 일등바위(율동바위)와 심판받은 영혼이 이동한다 하여 이름 지어진 이등바위(이동바위)로 나뉜 유달산은 갖가지 기암괴석과 병풍처럼 솟아오른 기암절벽이 첩첩하며 그 옛날 소식을 전하기 위해 봉수를 올렸던 봉수대와 달성사, 반야사 등의 전통사찰을 볼 수 있다. 이 외에도 임진왜란 때 이엉으로 바위를 덮어 아군의 군량미처럼 가장해 왜군의 전의를 상실케 하였다는 이순신 장군의 설화가 전해오는 노적봉을 비롯하여 유선각, 오포대 등 역사상 의미 있는 곳이 많으며, 특히 유달산에는 이곳에서 멸종되면 지구상에서 영원히 소멸되는 왕자귀나무가 서식하고 있다. 정상에 올라서면 다도해의 경관이 시원스레 펼쳐져 있고 그 사이를 오가는 크고 작은 선박들의 모습이 충분히 아름다운 한 폭의 동양화를 연상시키는 목포의 뒷산 유달산. 그 위에서 바라보는 다도해의 일몰이나 목포항의 야경은 이곳을 찾는 이들의 가슴속에 오래도록 남을 것이다.